반응형

가족이 돌아가셨을 때 사용하는 ‘상(喪)’ 표현 총정리
📍빙부상? 빙모상? 들어 보셨나요?

가족이나 친척이 돌아가셨을 때, 부고나 조의문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단어들이 있습니다.
바로 ‘부친상’, ‘빙모상’, ‘시부상’처럼 관계에 따라 달라지는 ‘상(喪)’ 표현인데요.
한자를 보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알고 보면 굉장히 명확합니다.
요즘 문해력 부족이 사회적 화두가 될 만큼, 일상 속 단어조차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생기는 오해가 많은데요.
이런 기본 용어들을 정확히 알아두는 건 단순한 교양을 넘어, 예의와 배려의 시작이 되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족관계별로 자주 쓰이는 상(喪) 용어를 정리해드릴게요

내 아버지의 별세
내 어머니의 별세

‘빙부상’, ‘빙모상’은 오직 사위의 입장에서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빙부상(聘父喪)"과 "빙모상(聘母喪)"은 사자성어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상주(喪主)의 위치를 나타내는 부고(訃告) 표현 중 일부입니다.

자기 친.외할아버지
자기 친.외할머니
조부상·조모상은 본인의 조부모가 돌아가신 경우 쓰는 표현입니다.

며느리 입장에서 시부모님의 별세를 표현할 때도 용어가 있습니다.

상(喪)이라는 글자가 들어간 용어는 돌아가신 분과의 관계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됩니다.
일상적으로 쓰이는 가족 관계별 ‘상’ 용어들을 기본 의미 + 한자 + 활용 예시를 정리한 표입니다.

📌 참고사항
가족을 잃는 슬픈 상황 속에서도, 적절한 표현으로 조의를 표하는 것은 남은 사람의 예의입니다.
오늘 알려드린 상(喪) 용어 정리를 통해, 필요할 때 혼동 없이 정확한 표현을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 요즘 이슈가 되는 문해력 논란, 남의 일이 아닐 수 있어요.
작은 단어 하나라도 알고 쓰는 것이 나를 표현하는 첫걸음입니다.
부고나 조문에서는 관계에 따라 정확한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예의입니다
반응형
'유익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쿠버다이빙에서 ‘산소통’? ‘공기통’? 올바른 표현은 무엇일까요? (0) | 2025.06.22 |
---|---|
스노클링, 스킨다이빙, 프리다이빙, 스쿠버다이빙 차이점 정리 (0) | 2025.06.22 |
위험한 물놀이 템 스노쿨링 풀페이스 마스크 물놀이 사망사고 ? (1) | 2025.06.22 |
1월생 띠 헷갈리시나요? 설날이 아니라 입춘 기준으로 띠가 바뀐답니다! (0) | 2025.06.17 |
[삼재란?] 들삼재·놀삼재·날삼재 뜻과 해석 총정리! 삼재 해소 방법까지 (0) | 2025.06.17 |